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도시정비수혜주
- #아파트브랜드평판순위
- 공매도금지수혜
- #재건축수혜주
- #업종대분류
- 아모레주가
- #sk증권
- #섹터영향요인
- #노후계획도시정비및지원에관한특별법
- 성장주투자법
- 수요공급투자
- #건설사브랜드
- #업종
- #nice평가정보
- 인플레이션발생원인
- 화장품주전망
- 투자
- 면세점주전망
- 거래량회전율
- 맥킨지투자법
- #아파트브랜드건설사
- 주식
- 유커관련주
- #섹터위험도
- #업종위험도
- #업종영향요인
- 중국발수요
- #아파트브랜드
- 투자공부
- 거래량이동평균
Archives
- Today
- Total
What matter KRX
LP(Limited Partners), GP(General Partners) 개념과 차이점 본문
[요약]
LP(Limited Partners)
: 자본을 제공하는 투자자. 투자한 금액만큼 손실을 볼 수 있다.
GP(General Partners)
: LP에게 자본을 받아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투자자. 펀드 성과에 따라 무제한의 책임을 가질 수도 있다.
LP와 GP 개념

Limited Partners (LP)와 General Partners (GP)는 투자 파트너십이나 펀드 등에서 주로 나오는 표현이다
이 둘의 개념을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다.
- Limited Partner (LP)
- 역할: LP는 주로 자본을 제공하는 투자자. 투자 파트너십 또는 펀드에 자본을 출자하고, 펀드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 책임: 투자한 금액으로 제한. 투자한 자본을 초과하는 손실에 대한 책임이 없으며, 투자에 관한 의사 결정에 대한 책임도 제한됨
- General Partner (GP):
- 역할: GP는 펀드나 파트너십의 운영을 총괄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주체. 펀드를 설립하고 관리하며, 투자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함
- 책임: GP는 LP보다 더 많은 책임을 가짐. 펀드의 성과와 운영에 대한 책임을 맡으며, 때로는 무제한의 책임을 부담할 수 있음(레버리지, 인버스 펀드...)
일반적으로 LP와 GP 간의 파트너십은 투자 기회와 책임을 분배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설계되는데, 이 구조는 투자자들이 투자에 참여하고 동시에 전문가인 GP가 펀드를 관리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LP와 GP의 차이점
Limited Partner (LP)와 General Partner (GP)의 주요한 차이는 책임과 책임의 범위에 있다
- 책임 (Responsibility)
- Limited Partner (LP): LP는 투자자로서 주로 자본을 제공하며,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다. 또한 손실이 투자한 자본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된다
- General Partner (GP): GP는 관리자로서 펀드 또는 파트너십의 일반적인 운영과 투자 결정에 책임이 있다. GP는 더 많은 책임을 지며, 종종 무제한의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 책임의 범위 (Liability)
- Limited Partner (LP): LP는 투자한 금액 이상으로 손실을 입지 않는다. 즉, 자본 제공에 따른 손실이 제한된다
- General Partner (GP): GP는 펀드의 운영과 관련된 부채에 대해 무제한의 책임을 지닐 수 있다. 이는 자본 외의 자산도 손실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theprivateequiteer.com
'금융 커리어 >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략적 투자자(Strategic Investor),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개념 알아보기(워런버핏, 조지소로스) (1) | 2023.12.08 |
|---|---|
| 바이(Buy)사이드, 셀(Sell)사이드. 금융 산업의 두가지 축 (0) | 2023.12.08 |
| 증권사 부서 알아보기(IB,WM,S&T,PI/프론트,백오피스) (1) | 2023.12.08 |
| 증권사 IB 업무 정리 (1) | 2023.12.08 |